작은 호기심 10

매직블럭, 멜라민에 대하여

(https://www.cleaningshop.com.au/contents/en-us/d1580.html) 예전부터 매직블럭의 정체가 무엇인지 궁금했었는데, 사포였다. 진짜 모래라는 것이 아니라 매우 곱고 단단한 입자를 이용한 연마제 말이다. 주 성분은 멜라민 수지라고 포름알데히드와 멜라민을 단량체로 한 혼성중합체이다. 이 성분에 황산수소나트륨을 넣어서 발포제 형태로 만든 것이 멜라민 블럭, 상품명 매직블럭이다. 한국에서도 외국에서도 상품명에 '매직'을 넣은 것을 보면 개발한 사람들이 이 물질의 청소용구로써의 성능에 꽤 놀라워 했나보다. 멜라닌 수지는 보통 건설현장에서 단열재로 사용되며 이를 이용한 주방용품도 있었지만 21세기 초에야 청소도구로 사용될 수 있음이 알려졌다. 생각해보면 어렸을 때 투니버스 ..

작은 호기심 2017.04.15

DSLR 적응하기 - 노출

카메라에 손떨림방지 기능이 없어서 매우 힘들다. 전문가용이라더니만 매우 직관적이며(익숙해지면 편하긴 하지만 처음에 불편함) 포럼을 보니까 오토모드는 없는 것으로 생각하라질 않나, 여러모로 힘들기 그지없다. 카메라의 명성에 누가 될까 봐 주문해놓은 슬링백이 도착하면 어서 나가서 연습해야겠다. 사실 내가 카메라를 찍으면서 조절하는 값이라고는 조리개값, 셔터속도, ISO가 전부인데 영 쉬운 일이 아니다. 차라리 수동초점과 화이트밸런스는 감으로라도 익히지. 오늘 이 글을 쓰는 것을 계기로 노출 3요소에 대한 이해를 키워야겠다. 열려 있는 조리개구멍을 통해(APERTURE) 일정 시간만큼 셔터가 열려 센서가 노출되며(SHUTTER SPEED) 센서는 상을 받아들이는 민감도(ISO)를 가진다. 이것이 노출의 3요소..

작은 호기심 2016.08.21

Input, Processing, Output의 차이에 대하여

별 것 없다. 그냥 다르다는 것이다. 받아들이는 것과 그것을 곱씹어 생각해 확장, 응용하는 것과 내보내는 것이 말이다. 받아들인다는 것은 이해내지 암기라고 볼 수 있다. 이해한다는 것을 통틀어 인풋이라 한다면 이 범주 안에는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한 개인적인 방법론도 포함될 것이다. 예를 들어 고등학교 때에 학생들을 보면 외울 것을 외우며 조용히 공부하는 애들과 외울게 많다면서 징징거리는 친구들이 있었는데, 이 중 후자에게 필요한 것이 암기의 비법인 것이다. 암기법은 굉장히 많이 개발되어 있으므로 여기에 쓰는 것은 의미도 없고 글의 주제와도 맞지 않지만 개인적으로 반복을 강조하는 에빙하우스의 망각곡선과 정보를 기억 속의 물건을 채우듯이 상상하는 이미지 템플릿이 매우 유용했었다. 그 외 암호/암구호/주문과 ..

작은 호기심 2016.08.20

라이카에서 출시한 렌즈 이름의 의미

자기소개서를 제출하면 어떤 교수님들은 내 메일의 의미가 무엇인지 꼭 물어보시곤 했다. 내가 이제껏 만든 ID라고 한다면 초등학교 때 처음 만든 bs- 이후로도 sa-, mi-, ar-, 61-, bd-, bl-, dr- 등 많은 아이디를 만들어 써 왔다. 아무 의미없이 지은 아이디도 있었지만 어른들에게 몇 번 질문받은 이후로는 기왕이면 의미가 있는 아이디를 사용하려고 생각했다. 이렇게 개인의 메일에서도 접하는 사람들의 궁금증을 자아낼 수 있듯이 이름을 짓는다는 것은... 굉장히 영향이 큰 일인 것 같다. 일종의 영구적인 상태메시지라는 생각도 든다. 우리가 짓거나 받은 이름은 우리를 대표하는 울림이 되고 주변 사람들은 그 울림을 불러서 나를 지칭한다. 이름이 좋지 않은 사람은 바꾸기도 하며 더 좋은 의미를..

작은 호기심 2016.08.18

Ascites, 복수에 대하여

정상적으로도 복강 내에 체액이 30~40mL 있을 수 있는데 그 이상의 100~200mL가 저류하는 경우 그 액체를 복수라고 한다. 그 기전으로는 간경화증과 같이 문맥고혈압 그리고 신장으로 인한 나트륨, 수분의 저류가 원인일 수 있으며 이 기전은 심부전에서도 비슷하다. 1) 배출로가 막히므로 문맥까지 저류가 되며 2) 간의 별세포가 활성화되어 섬유발생을 일으키고 차례로 민무늬근이 수축하며 섬유화가 일어난다. 3) 마지막으로 혈관내피세포에서 생성되는 아산화질소 합성효소의 분비가 줄어들어서 간 내 혈관수축이 증가하는 것도 한 몫 한다. 그런데 간 내와는 반대로 전신에 순환하는 아산화질소는 증가하며 혈관내피세포형성인자와 종양괴사인자의 증가로 인해 내장동맥이 혈관확장을 일으켜 혈액이 저류되고 유효순환혈량이 저하..

작은 호기심 2016.01.08

인슐린저항성이 날라가서 때우는 폐농양 항생제

- Clindamycin IV 사용 후 열과 임상증상이 호전되면 PO로 전환 - IV B-lactam/B-lactamase combination 후 상태가 호전되면 PO로 전환 - Moxifloxacin도 ampicillin-sulbactam만큼 효과와 효용이 좋음 - Metronidazole은 혐기균을 잡지만 미(세)호기성 사슬알균을 잡지 못하므로 효과가 덜함 - 이차성일 경우 접근법은 다양할 수 있다 Reference Harrison, T., Wiener, C., Brown, C. and Hemnes, A. (2015).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New York: McGraw-Hill Medical.

작은 호기심 2015.12.25

Clubbing, 곤봉지에 대하여

[이하 reference에 따라 항목 앞에 표기] - (H)Definition: the selective bulbous enlargement of the distal segments of the fingers and toes due to proliferation of connective tissue, particularly on the dorsal surface - (H&U)선천적이거나 특발성일 수 있으며 특정 질환과 관련되어 후천적일 수 있다. 주로 호흡기계와 심혈관계의 질환이 관련되며 그보다는 덜 흔하지만 위장관계, 간담도계도 관련될 수 있다. 1) 후천적인 양측성 곤봉지가 가장 흔한 형태이며 이 경우 증상은 엄지 또는 검지에서 시작된다. Lung cancer, interstitial pulmonar..

작은 호기심 2015.12.24

폐렴의 경험적항생제

1. Community acquired pneumonia, outpatient mode - 심각한 동반질환이 없으며 최근 3개월 이내에 항생제 사용이 없고 macrolide-resistant S. pneumoniae의 유병률이 높지 않은 곳에서 발생한, 입원이 필요하지 않은 폐렴은 경험적으로 다음 경구약제 중 하나를 사용한다. Azithromycin, Clarithromycin(or XL), Doxycycline - 미국같이 macrolide-resistant S. pneumoniae의 유병률이 높을 경우에는 경험적으로 macrolide monotherapy를 사용해서는 안 된다. 그럴 때에는 doxycycline resistance 유병률이 25%이다. - 위와 같은 경우 바로 respiratory f..

작은 호기심 2015.12.23

당뇨병성 망막병증의 치료에 대하여

1. 당뇨병성 망막병증의 선별검사는 중요한데, 1) 이미 증상이 나타나면 많이 진행한 경우가 많으며 2) 치료를 통해 시력저하를 예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망막병증이 시작되어 황반부종 및 증식성 망막병증으로 이행하기까지 대다수의 환자가 무증상이다. 이 때 광응고술은 시력저하를 막을 수 있음이 randomized traial에서 증명되었다. 3) 하지만 이런 치료도 이미 저하된 시력손실은 되돌릴 수 없으므로 시력이 손상되는 것을 막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2. 초기 선별검사에서 망막병증을 발견하였으면 매년 추적관찰하기를 권장한다. 이 망막병증이 진행하거나 황반부종이 있거나 중증의 비증식성 망막병증 또는 증식성 망막병증이라면 더 집중적인 치료가 요구된다. 3. 혈당/혈압관리의 유용함은 systematic r..

작은 호기심 2015.12.22

항생제 작용기전

0. 항생제가 작용하는 박테리아의 타겟은 크게 5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미생물 외부의 1)세포벽, 2)세포막과 내부의 3)리보솜, 4)핵산 그리고 5)엽산생성과정이다. 1. 세포벽 합성 억제는 일반적으로 bactericidal effect를 지닌다. Peptidoglycan은 NAG와 NAM이 엮인 backbone, 여기에서 툭 튀어나온 stem-peptide, 이 peptide chain이 엮여서 이루는 peptide bridge를 구성요소로 한다. - B-lactams는 inner cytoplasmic membrane에 있는 transpeptidase enzymes (penicillin-binding proteins, PBPs)에 결합하여 stem-peptide의 cross-linking 단계를 경쟁..

작은 호기심 2015.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