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적으로도 복강 내에 체액이 30~40mL 있을 수 있는데 그 이상의 100~200mL가 저류하는 경우 그 액체를 복수라고 한다. 그 기전으로는 간경화증과 같이 문맥고혈압 그리고 신장으로 인한 나트륨, 수분의 저류가 원인일 수 있으며 이 기전은 심부전에서도 비슷하다. 1) 배출로가 막히므로 문맥까지 저류가 되며 2) 간의 별세포가 활성화되어 섬유발생을 일으키고 차례로 민무늬근이 수축하며 섬유화가 일어난다. 3) 마지막으로 혈관내피세포에서 생성되는 아산화질소 합성효소의 분비가 줄어들어서 간 내 혈관수축이 증가하는 것도 한 몫 한다. 그런데 간 내와는 반대로 전신에 순환하는 아산화질소는 증가하며 혈관내피세포형성인자와 종양괴사인자의 증가로 인해 내장동맥이 혈관확장을 일으켜 혈액이 저류되고 유효순환혈량이 저하..